Network Chat (연관도 차트)
본 글은 증권감독원에서 구현한 내용을 기억으로 소개합니다. FDS(금융사기감지) 업무에 활용하기 위하여 작성된 차트입니다. 본 예제에서는 개인들이 FC, 병원, 자동차정비소와의 관계를 표현합니다. 물론 실제 업무에서는 더 복잡한 구조를 갖고 있지만 구현하는 과정을 소개하는 목적입니다.
기본 데이터 구조
Node는 개인ID로 생각하면 됩니다.
기본 구조로 클릭센스의 Visualization bundle에 제공되는 Network chart로 화면을 그리면 Network가 형성되지 않습니다.
기본 데이터를 Network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Qlik Sense에 적합한 모델로 구성해야 합니다.
모델을 변경하는 기본적인 방법은 모든 노드는 Node에 값이 존재해야 합니다. 즉 Parent 값도 Node에 존재해야 합니다. 모델을 만들기 위한 스크립트는 다음과 같이 구성합니다.
이제 작성된 모델을 갖고 시각화를 합니다. 본 시각화는 개인과 FC와의 관계를 표현한 것입니다.
좌측의 Data 구조를 보면 Node에 FC 코드가 추가되었습니다.
우측의 시각화는 Edge의 크기 및 값을 표시하도록 하였습니다. 차트를 확대하면 엣지위에 갑이 표시되고 있습니다.
다음 차트는 좀더 복잡한 구조의 모습을 표현한 예제입니다. 각 Node는 개인 및 FC를 의미하고, 서로 n 대 n 의 연결을 갖고 있습니다. 중앙의 노드를 FC로 생각하고 보시면 됩니다. 반드시 FC를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연결이 집중되었다는 의미입니다.
위 차트에서 Network는 방향 (화살표)을 갖고 있지 않습니다. 서로 연결이 있는지 없는지를 표현합니다. 네트워크 차트에서는 From-To 혹은 상하관계를 표현하는 의미는 아닙니다. 상하관계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조직도 차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그러나 금융위원회(FIU)에서 혐의거래보고(STR) 분석을 위해서 클릭센스로 네크워크(연관도) 차트를 구성하였습니다. FIU에서는 계좌간의 자금흐름을 분석하는데 From – To 관계를 반드시 표현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별도의 Extension을 사용하거나 혹은 Extension의 소스코드를 수정하여 구현하였습니다.
다음 화면은 엣지의 방향향성(Arrow)를 표현한 예제입니다.
FIU에서 구현한 내용은 보안 관계상 실제 데이터 구현화면을 소개할 수는 없지만, 데모 데이터를 갖고 작성한 결과는 다음과 예제와 유사합니다.
노드 모양, 네트워크의 연결도, 엣지의 값 표현 및 화살표를 표현한 예제입니다.
이전글들
https://qliksense.tistory.com/71
네트워크 차트(Network Chart) 사용사례
클릭센스(Qlik Sense)를 이용한 금융거래에 대한 계좌추적에 사용하는 사례 입니다. 실제 금융정보분석원에서는 각 금융기관에서 보고되는 금융거래에 대하여 의심거래 분석을 위하여 사용하고
qliksense.tistory.com
For more information
https://qliksense.tistory.com/
클릭커
차체대 시각화 솔루션 Qlik Sense 란? Qlik Sense 에 대하여 살펴보자. 클릭센스(Qlik Sense)에 대한 기술자료를 공유합니다. 더 많은 기술자료들이 필요하시면 컨택하세요. 모두 무료로 제공해 드립니다.
qliksense.tistory.com
https://blog.naver.com/about_qlik
Qliker : 네이버 블로그
클릭센스 개발팁
blog.naver.com
'Qlik Sense 개발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쿼드런트 분석(Magic Quadrant) 차트 만들기 (0) | 2022.12.13 |
---|---|
증분 적재를 위한 최종변경일시 가져오기 (0) | 2022.12.11 |
월별 추이 분석 (조회 기간 지정) (0) | 2022.12.07 |
관리회계 리포트 작성방법 (0) | 2022.12.04 |
리포트를 상세/요약 사용자 선택 (0) | 2022.12.01 |